💻 computer science
-
HTTPS💻 computer science/🌐 network 2022. 10. 9. 19:34
HTTP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80번 포트 사용 HTTP 특징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 TCP/IP 위에서 작동 Stateless 프로토콜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중요 내용을 주고 받으면 제 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HTTPS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443번 포트 사용 네트워크 상에서 중간에 제 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암호화를 지원 SSL / TLS SSL (Secure Socket Layer)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
-
TCP / UD💻 computer science/🌐 network 2022. 10. 9. 19:28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특징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1:1 연결)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 설정, 4-way handshaking 을 통해 해제 높은 신뢰성 보장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전이중, 점대점 방식 3-way handshaking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3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SYN 단계 클라이언트 → 서버 ISN을 담아 SYN을 보낸다. SYN + ACK 단계 클라이언트의 SYN을 수신하고 서버의 ISN을 보낸다. 승인번호로 클라이언트의 ISN + 1을 보낸다. ACK 단계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SN + 1한 값을 승인번호로 담아 A..
-
OSI 7 계층 과 TCP/IP 계층💻 computer science/🌐 network 2022. 10. 9. 19:26
계층 모형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 각 계층은 담당하는 위치마다 처리 역할을 구분해 진행한다.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인다. 특정 계층에서 이상이 생겨도 문제 있는 계층만 고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용이하다. 다른 계층끼리는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캡슐화와 은닉이 가능하다. OSI 7계층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네트워크 호환을 위해 OSI 7계층이라는 표준 네트워크 모델을 만들었다. 실제로는 OSI 7 Layer model 이 아닌 TCP/IP 가 표준 1. 물리 계층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
HTTP💻 computer science/🌐 network 2022. 10. 9. 19:21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 서버 / 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른다. Application layer로 TCP/IP 위에서 작동한다. 동작하는 환경 / 구조 HTTP는 기본적으로 Server - Clinet 환경에서 동작한다.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고 주로 TCP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 Request를 전송하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 Response 를 함으로써 통신을 하게 된다. 특징 1.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Request - Response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
인덱스💻 computer science/📦 database 2022. 10. 5. 18:13
인덱스 🔖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 구조 ex) 책의 마지막 장에 있는 찾아보기 인덱스를 활용하면, 데이터를 조회하는 SELECT 외에도 UPDATE, DELETE 의 성능이 함께 향상된다. → 해당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대상을 조회해야만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덱스 관리 DBMS는 index를 항상 최신의 정렬 상태로 유지해야 원하는 값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다. 인덱스가 적용된 컬럼에 INSERT, UPDATE, DELETE가 수행되면 각각의 연산을 추가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그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 INSERT :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 추가 UPDATE : 기존의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음 처리 후 갱신된..
-
SQL / NoSQL💻 computer science/📦 database 2022. 10. 5. 18:1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고정된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테이블의 구조와 데이터 타입등을 사전에 정의하고 정의된 내용에 알맞는 데이터만 삽입할 수 있다. 엄격한 스키마 데이터는 테이블에 레코드로 저장되며, 각 테이블에는 명확하게 정의된 구조가 있다. 관계 데이터들을 여러개의 테이블으로 나누어, 데이터들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테이블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SQL 구조화된 쿼리 언어 특정 유형의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데 사용하는 쿼리 언어 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의 모델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다. 스키마가 없는 것이 아니다! 특징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지 않는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분산형 구조이다..
-
트랜잭션💻 computer science/📦 database 2022. 10. 5. 01:46
🤔 트랜잭션💡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법은 쿼리, 즉 여러 개의 쿼리들을 하나로 묶는 단위 ACID 특징 1. 원자성 (Atomicity)“all or nothing” 원자성(atomicity)은 트랜잭션이 이루어지는 작업(관련된 일)이 모두 수행되었거나 되지 않았거나를 보장하는 특징 트랜잭션 단위로 여러 로직들을 묶을 때 외부 API를 호출하는 것이 있으면 안된다!!! 왜❓트랜잭션이 update, insert, 외부 API 호출로 이루어진 상황에서, 외부 API 호출이 실패하여 롤백을 한다면 내부적인 롤백에는 문제가 없다.하지만, 만약 외부 API 호출을 완료하고 나서 롤백을 한다면, 외부 API로 반영된 내용은 롤백하..
-
정규화💻 computer science/📦 database 2022. 10. 5. 01:41
정규화 ❗ 💡 릴레이션 간의 잘못된 종속 관계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이상 현상 을 해결하거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릴레이션을 여러 개로 분리하는 과정 테이블간 데이터 중복을 줄이고,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 써 무결성을 향상(유지)하고, DB의 저장 용량도 줄인다. 데이터베이스 이상 현상 (Anomaly) 서로 공유하는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튜플에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 삽입 이상 데이터 삽입시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값이 없어 NULL을 입력해야 하는 현상 수정 이상 데이터 수정시 중복된 데이터의 일부만 수정되어 일어나는 데이터 불일치 현상 삭제 이상 데이터 삭제시 같이 저장된 다른 정보까지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현상 정규화 원칙 자료의 중복성은 감소해야 한다. 독..